'Develope/Java'에 해당되는 글 25건

접근 지정자

Develope/Java 2020. 5. 10. 18:27
반응형

※ 접근 지정자

 : JAVA와 같은 객체 지향 언어의 경우 접근 지정자가 존재한다. 이는 객체를 캡슐화하기 때문으로서, 다른 객체가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지정할 필요가 있다.


 - 자바에서의 접근 지정 방식은 총 4개이다.

 1) private

 2) protected

 3) public

 4) 접근 지정자 생략(default)


※ 클래스 접근 지정자

 : 클래스 접근 지정이란 다른 클래스에서 해당 클래스 이름을 사용할 수 있는지 허용 여부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 클래스 접근 지정자는 클래스 선언 부분에 작성되며 publicdefault 2가지가 있다.


 - public : public으로 선언된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접근 지정자 생략(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에 있는 클래스들만이 default 접근 지정자로 선언된 클래스로의 접근이 허용된다.


※ 멤버 접근 지정자

 : 클래스의 멤버인 필드와 메소드의 접근 지정자는 총 4가지가 있다.

멤버에 접근하는 클래스

멤버 접근 지정자

public

protected

private

default

같은 패키지의 클래스

O

O

X

O

다른 패키지의 클래스

O

X

X

X


 - public : 패키지의 내부, 외부 등 모든 클래스에서 해당 멤버에 접근이 가능

 - private : 비공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같은 클래스 내부 멤버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

 - protected : 보호된 공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가지 경우의 클래스에만 공개

  1) 같은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2) 다른 패키지의 클래스라도 해당 클래스를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의 경우 접근 가능

 - default(또는 package-private) : 접근 지정자가 생략된 경우 default 접근 지정자가 선언되었다고 하며, 이 경우 동일한 패키지 내에 있는 모든 클래스는 default 멤버에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함.


※ get/set 메소드

 private 접근 지정자로 되어 있는 경우, 해당 멤버에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해당 클래스에서 get, set 메소드를 다른 접근 지정자로 생성하여 해당 멤버들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class rootable{
    private int id;
 
    public int getId(){
        return id;
    }
    
    public int setId(int value){
        id=value;
    }
}
cs


반응형

'Develop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al  (0) 2020.05.11
static 멤버  (0) 2020.05.11
가비지와 가비지 컬렉션  (0) 2020.05.10
생성자(constructor)  (0) 2020.05.09
메소드 오버로딩과 this  (0) 2020.05.06
블로그 이미지

rootable

,
반응형

※ 가비지(garbage)

 : 가비지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객체나 배열 메모리를 뜻하며, 여기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해당 객체나 배열을 가리키는 레퍼런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1
2
3
4
Person a, b;
= new Person("철수");
= new Person("영희");
b=a; // b가 가리키던 영희에 해당하는 객체는 가비지가 된다.
cs


※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 가비지가 많아지면 자바 가상 머신(JVM)에서 응용프로그램에게 할당해줄 수 있는 가용 메모리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가용 메모리 양이 0이 될 경우 자바 응용프로그램은 더 이상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JVM에서 가용 공간이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자동으로 가비지를 회수하여 가용 메모리 공간을 늘리는데 이것을 바로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라고 한다.


 - 가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 :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하는 주체

 - 가비지 컬렉션 스레드(garbage collection thread) : 가비지 컬렉터 역할을 수행하는 JVM의 스레드


 : 자바 가상 머신의 내부 알고리즘의 판단에 의해 가비지 컬렉션이 수행되므로 언제 컬렉션이 일어나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 규모가 큰 프로그램의 경우 가비지가 많이 생산될 확률이 높은데 이 때에는 가비지 컬렉터가 실행되어 자바 프로그램의 실행을 멈추고 가비지 컬렉션이 끝날 때를 기다리게 된다. 이 것을 사용자에게는 프로그램이 중단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자바는 실시간 처리 응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가비지 컬렉션 강제 수행

 : 응용프로그램에서 System 또는 Runtime 객체의 gc() 메소드를 호출하여 강제로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1
System.gc();
cs


: 위의 문장을 작성한다고 바로 가비지 컬렉션이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위의 문장은 JVM에게 가비지 컬렉션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력히 주장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수행되는 것은 JVM이 전적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시점에 수행된다.

반응형

'Develop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ic 멤버  (0) 2020.05.11
접근 지정자  (0) 2020.05.10
생성자(constructor)  (0) 2020.05.09
메소드 오버로딩과 this  (0) 2020.05.06
JAVA 5일차  (0) 2020.04.12
블로그 이미지

rootable

,
반응형

※ 생성자의 개념

 :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될 때 초기화를 위해 실행되는 메소드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하나의 객체가 생성이 될 때 필드들의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지만 값을 가지지는 못한 상태인데 이 생성자를 호출하여 필드들의 값을 설정해주는 것이다.


생성자의 정의와 호출

 -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되는 순간에 자동으로 호출된다.

 - 생성자의 이름은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하다.

 - 생성자는 오버로딩(overloading)이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ublic class rootable {
    int id;
    public rootable(int x) {        // 생성자 이름은 클래스 이름과 동일
        this.id = x;
    }
    public rootable() {            // 생성자는 리턴 타입 없음
        this.id = 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ootable ob1 = new rootable(3);    // new를 통해 객체를 생성할 때만 생성자가 호출됨.
        rootable ob2 = new rootable();    
        rootable i;
    }
} 
cs


※ 기본 생성자

 : 기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란 인자도 없고 실행 내용도 없이 단순 리턴하는 생성자이다.

 : 이 기본 생성자를 디폴트 생성자라고도 한다.

1
2
3
public class rootable{
    public rootable() { } // 기본 생성자 
}
cs


 - 객체가 생성될 때에는 생성자가 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클래스에는 최소한 하나의 생성자가 선언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만약 개발자가 따로 생성자를 선언해주지 않았다면 컴파일러가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 하지만 기본 생성자가 항상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개발자가 하나라도 생성자를 선언하였을 경우에는 컴파일러가 기본 생성자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기본 생성자 호출 시에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된다.


※ this()

 : this()는 한 클래스 내에서 한 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자바 코드


 - 주요 특징 3가지

 1) this()는 생성자 코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생성자가 아닌 일반 메서드에서는 this() 사용 불가

 2) this()는 동일한 클래스 내의 다른 생성자를 호출할 때 사용한다.

 3) this()는 반드시 생성자의 첫 번째 문장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 첫 번째 문장이 아니면 컴파일 오류 발생


객체의 소멸

 : 자바에는 new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 시 호출되는 생성자를 정의할 수는 있지만 이와 반대로 객체를 소멸시키고, 소멸될 때 호출되는 소멸자 메소드라는 것은 JAVA에 존재하지 않는다.

 → 객체의 소멸은 개발자가 따로 작성할 필요 없이 자바 가상 머신(JVM)의 가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에 의해 적절한 시점에 자동으로 수집되어 가용 메모리에 리턴된다.

반응형

'Develop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근 지정자  (0) 2020.05.10
가비지와 가비지 컬렉션  (0) 2020.05.10
메소드 오버로딩과 this  (0) 2020.05.06
JAVA 5일차  (0) 2020.04.12
JAVA 4일차  (0) 2020.04.01
블로그 이미지

rootable

,
반응형

※ 접근지정자

 - public : 클래스 내부/외부에서 모두 호출 가능

 - private : 클래스 내부 맴버들만 호출 가능

 - protected : 클래스 내부 메소드들은 호출 가능하며, 다른 클래스 중 상속받은 서브클래스만 호출 가능

 - 생략 : Default로는 동일한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가 호출 가능


※ 인자 전달 (argument passing)

 : 자바의 메소드 호출 시 인자 전달 방식은 어떠한 타입이 전달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1) 기본 타입이 인자로 전달되는 경우 : 호출자(caller)가 건네는 인자의 값을 복사하여 인자로 전달된다.

  → 기존의 값과는 전혀 관련이 없으므로 호출자에서는 메서드에 어떠한 코드가 있던지 그 값이 유지된다.


 2) 객체 레퍼런스가 인자로 전달되는 경우 : 객체를 가리키는 레퍼런스가 복사되어 전달된다.

  →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인자와 호출자(caller)가 참조하는 레퍼런스 값이 같으므로 메서드 코드에 따라 기존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3) 배열이 인자로 전달되는 경우 :  객체 레퍼런스와 동일하다.

  → 배열을 가리키는 객체 레퍼런스가 복사되어 전달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메소드 오버로딩 (method overloading)

 : 메소드 오버로딩이란 한 클래스 내에서 메소드의 이름은 같지만 인자의 타입이나 개수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메소드를 중복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이는 객체 지향적 특징 중 다형성의 한 종류이다.


 : 메소드 오버로딩을 하는 이유는 하나의 클래스에서 하나의 동작을 진행할 때 여러 case를 분류하여 표현하기 위함이다.

  - 예를 들어 덧셈을 하는 클래스의 경우 인자가 여러개일 경우도 있고, int형끼리 혹은 double형끼리 덧셈을 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


 : 여러 개의 메소드가 메소드 오버로딩으로 성립되려면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1) 메소드 이름이 동일하여야 한다.

 2) 메소드 인자의 개수가 서로 다르거나, 인자의 타입이 서로 달라야 한다.

 3) 메소드 이름, 인자의 개수와 타입이 모두 같을 경우 리턴 타입 혹은 접근 지정자가 다르다 하더라도 오버로딩이 성립되지 않으며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호출자(caller)의 입장에서 봤을 때 메서드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메소드 이름과 인자의 개수,타입 뿐이기 때문이다.

 

※ this

 : this는 간단히 말하면 객체 자신을 가리킨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현재 실행되는 메서드가 속한 객체에 대한 레퍼러스이다.

 : this는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별도로 this를 선언할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this의 필요성은 인자의 이름과 멤버의 이름이 같은 경우에서 알 수 있다.

  - 아래와 같은 메서드가 있다고 가정하자.

void set(int id) { id = id; }

  이럴 경우에는 두 개의 id 모두 인자로 정의된 id를 가리켜서 멤버 id 값을 바꿀 수가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this를 이용하여 id가 멤버를 나타낸다는 것을 표현해주어야 한다.

void set(int id) { this.id = id; }


반응형

'Develop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비지와 가비지 컬렉션  (0) 2020.05.10
생성자(constructor)  (0) 2020.05.09
JAVA 5일차  (0) 2020.04.12
JAVA 4일차  (0) 2020.04.01
JAVA 3일차  (0) 2020.03.31
블로그 이미지

rootable

,

JAVA 5일차

2020. 4. 12. 23:5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JAVA 4일차

2020. 4. 1. 23:23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JAVA 3일차

2020. 3. 31. 23:3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JAVA 2일차

2020. 3. 30. 23:1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